Tiny Finger Point Hand With Heart
본문 바로가기
  • 바쁘다바빠 현대사회 알쏭달쏭 컴퓨터세상 왁자지껄 개발로그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184

19.HTTP 의 구조 및 핵심요소 HTTP란 무엇인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HTML) 문서를 교환하기 위해 만들어진 protocol(통신규약)이다. 프론트앤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에 사용된다. 또한 백앤드와 프론트앤드 서버간에 통신에도 사용된다. HTTP는 TCP/IP 기반으로 되어있다. 사람도 대화를 주고 받을 때, 우리말이든 영어든 같은 언어를 써야한다. HTTP 핵심요소 1. HTTP 통신 방식 HTTP 기본적으로 요청/응답(request/response) 구조로 되어있다. 클라이언트가 HTTP reu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HTTP response를 보내는 구조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모든 통신이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진다. HTTP는 Stateless이다. Statelees.. 2022. 12. 28.
18.객체지향과 절차지향 절차지향(Procedural Programming)이란?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처럼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시 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대표적인 절차지향 언어에는 C언어가 있습니다. 이는 컴퓨터의 작업 처리 방식과 유사하기 때문에 객체지향 언어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더 빨리 처리되어 시간적으로 유리합니다. 옛날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 속도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의 빠른 발전을 통해 컴퓨팅 환경은 급속도로 증가했지만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이 따라가지 못하게 되고 이런 상황에 소프트웨어의 개발시간을 단축하되 하드웨어에 기본적인 사양을 잡아먹어도 더 이상 큰 단점이 아니기에 모듈화, 캡슐화해서 개념적으로 접근하는.. 2022. 12. 27.
17.CS란 무엇인가요? CS 지식이란 컴퓨터 공학적 지식을 말하며, 디자인 패턴, 자료 구조,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지식을 말합니다. 이런 지식은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상식. 기본적으로는 이렇게 있다.. 프로그램 파일이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지만 메모리에는 올라가지 않은 상태. (정적인 상태) 프로세스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컴퓨터가 어떤 일을 하고 있는 상태) 스레드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한 프로그램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여러 개 만들려고 했지만 운영체제는 안전성을 위해 각 프로세스마다 자신에게 할당된 메모리 내의 정보만 접근가능하게 함. 스레드간 메모리 공유 가능. 싱글 스레드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하나의.. 2022. 12. 27.
[프로그래머스/파이썬][level 0] 배열 회전시키기 - 120844 [level 0] 배열 회전시키기 - 120844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10.1 MB, 시간: 0.00 ms 구분 코딩테스트 연습 > 코딩테스트 입문 채점결과 정확성: 100.0 합계: 100.0 / 100.0 문제 설명 정수가 담긴 배열 numbers와 문자열 direction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배열 numbers의 원소를 direction방향으로 한 칸씩 회전시킨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3 ≤ numbers의 길이 ≤ 20 direction은 "left" 와 "right" 둘 중 하나입니다. 입출력 예 numbersdirectionresult [1, 2, 3] "right" [3, 1, 2] [4, 455, 6, 4, -1, 45, 6].. 2022. 12. 25.
[프로그래머스][파이썬]배열의 유사도 - 120903 [level 0] 배열의 유사도 - 120903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10 MB, 시간: 0.01 ms 구분 코딩테스트 연습 > 코딩테스트 입문 채점결과 정확성: 100.0 합계: 100.0 / 100.0 문제 설명 두 배열이 얼마나 유사한지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문자열 배열 s1과 s2가 주어질 때 같은 원소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s1, s2의 길이 ≤ 100 1 ≤ s1, s2의 원소의 길이 ≤ 10 s1과 s2의 원소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s1과 s2는 각각 중복된 원소를 갖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s1s2result ["a", "b", "c"] ["com", "b", "d", "p", "c"] 2 ["n", "om.. 2022. 12. 23.
16. IPC(Inter-Process-Communication)가 무엇인가요?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즉, 독립 되어있다는 것은 다른 프로세스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스레드는 프로세스 안에서 자원을 공유하므로 영향을 받는다) 이런 독립적 구조를 가진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것이다. 이를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 바로 IPC 통신이다. 프로세스는 커널이 제공하는 IPC 설비를 이용해 프로세스간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커널이란?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다른 모든 부분에 여러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줌 IPC 설비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다. 필요에 따라 IPC 설비를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IPC 종류 익명 PIPE파이프는 두 개의 프로세스를 연결하는데 하나의 프로세스는 데이터를 쓰기만 하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를 읽기만 할 수.. 2022. 10. 12.
[Django] Admin site Admin site Django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인 automatic admin interface 알아보기 “관리자 페이지” • 사용자가 아닌 서버의 관리자가 활용하기 위한 페이지 • 모델 class를 admin.py에 등록하고 관리 • 레코드 생성 여부 확인에 매우 유용하며 직접 레코드를 삽입할 수도 있음 1. admin 계정 생성 python manage.py createsuperuser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해 관리자 계정을 생성 admin 계정 생성 ❖ email은 선택사항이기 때문에 입력하지 않고 enter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 ❖ 비밀번호 생성 시 보안상 터미널에 입력되지 않으니 무시하고 입력을 이어가도록 함 2. admin site 로그인 http://127.0... 2022. 10. 12.
[Django] ModelForm Django ModelForm DB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보면, HTML Form(UI)은 Django의 모델(DB)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됨. • 사용자로부터 값을 받아 DB에 저장하여 활용하기 때문 • 즉, 모델에 정의한 필드의 구성 및 종류에 따라 HTML Form이 결정됨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DB의 데이터 형식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유효성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서버 사이드에서 반드시 처리해야 함. 1. ModelForm 선언 forms 라이브러리의 ModelForm 클래스를 상속받음 정의한 ModelForm 클래스 안에 Meta 클래스를 선언 어떤 모델을 기반으로 form을 작성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Meta 클래스에 지정 # articles/forms.py from d.. 2022. 10. 11.
[Django] Django로 CRUD를 해보자! 게시판만들기 가상환경 생성 및 프로젝트 생성 작업 폴더 생성 및 이동 > mkdir todos > cd todos 가상 환경 생성 > python -m venv [가상환경 이름] > python -m venv todos-venv 가상 환경 실행 > source todos-venv/bin/activate # mac pip 버전 확인 > pip list Package Version ---------- ------- pip 22.0.4 setuptools 58.1.0 WARNING: You are using pip version 22.0.4; however, version 22.2.2 is available. You should consider upgrading via the '/Users/mac/Desktop/20220.. 2022. 10. 11.
15. 파일접근 방식인 순차접근과 임의접근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1. 순차 접근(Sequential Access) 원하는 레코드를 찾기 위해 파일의 현재 위치에서 차례대로 탐색을 실시하는 접근 방법이다. 특별한 구현이 없다면, 레코드를 접근할 때마다 디스크를 물리적으로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다. 순차 접근의 비효율성을 줄이기 위해 레코드 블록화(record blocking) 기법을 이용한다. 블록(block)은 여러 레코드의 집합이며, 파일 시스템은 레코드를 하나씩 읽어 메모리에 적재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에서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읽어 메모리에 적재한다. 예를 들어, 4,000개의 레코드로 구성된 파일을 블록 크기 16인 파일 시스템이 모두 읽기 위해서는 250번의 디스크 접근만 수행하면 된다. 레코드 블록화 기법에서 블록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디스.. 2022. 10. 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