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183 🚀 GitHub Actions를 이용한 백엔드 CI/CD 구성 방법 1. CI/CD의 개념 이해하기CI/CD는 Continuous Integration(지속적 통합)과 Continuous Deployment(지속적 배포)를 의미합니다. 개발자가 코드를 커밋하면 자동으로 빌드하고 테스트하며, 이상이 없으면 운영 서버에 배포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합니다. 이는 협업 효율을 극대화하고, 사람의 실수를 줄여 제품 품질을 높이는 핵심 DevOps 문화 중 하나입니다.CI/CD를 통해 개발팀은 코드 변경 사항을 신속하게 통합하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개발자들이 더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2. GitHub Actions의 기본 구성GitHub Actions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CI/CD .. 2025. 7. 3. [개발] VS Code 숨겨진 생산성 팁 10가지 — 개발 속도를 높이는 꿀기능 모음 개발 속도와 효율을 올려주는 작은 기능 모음개발자라면 누구나 사용하는 VS Code, 기본 기능은 다 알지만 의외로 잘 모르는 숨겨진 생산성 팁이 많습니다.오늘은 꼭 알아두면 개발 속도와 효율이 쑥쑥 오르는 VS Code의 숨은 기능 10가지를 소개할게요.1. 여러 커서로 동시에 편집하기Alt(Option) + 클릭으로 여러 위치에 커서를 만들 수 있어 한 번에 여러 곳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복잡한 변수명 변경이나 반복 작업에 정말 유용해요.2. 사이드바 빠르게 숨기기/보이기Ctrl + B (Mac: Cmd + B) 단축키로 사이드바를 숨기거나 표시할 수 있습니다.작업 공간을 넓게 쓰고 싶을 때 편리해요.3. 명령 팔레트 활용하기Ctrl + Shift + P (Mac: Cmd + Shift + P)를 누.. 2025. 7. 2. React Server Components vs CSR vs SSR 완전정리 (2025 최신 웹 트렌드) 📌 목차1. 각각의 렌더링 방식이란?2. RSC / CSR / SSR의 핵심 차이점3. 언제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4. 2025년 웹개발 트렌드: 이제는 RSC 중심1. 각각의 렌더링 방식이란?웹 애플리케이션의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해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은 다양한 렌더링 방식을 고민합니다.기존에는 CSR(Client-Side Rendering)과 SSR(Server-Side Rendering)이 주로 쓰였지만, 최근에는 RSC(React Server Components)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CSR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로 콘텐츠를 렌더링. 대표적으로 React SPA.SSR (서버 사이드 렌더링): 서버에서 HTML을 렌더링.. 2025. 6. 29. [개발] 비전공자도 가능한 개발 공부 루틴 만들기! 하루 2시간 실천법 비전공자도 가능한 개발 공부 루틴 만들기! 하루 2시간 실천법 📌 목차1. 왜 혼자 개발 공부가 어려울까?2. 실전 개발 루틴은 이렇게 만듭니다3. 학습 리소스 추천 + 루틴 보완 팁4. 루틴이 습관이 될 때까지1. 왜 혼자 개발 공부가 어려울까?개발 공부를 시작한 사람들의 공통 고민은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입니다.특히 비전공자나 독학하는 사람은 방향 없이 인강만 보거나, 코딩테스트 문제만 푸는 루틴에 갇히기 쉽습니다.이런 공부는 금방 지치게 되고, 결과적으로 "나는 안 맞나 봐"라며 포기하게 되죠.혼자 공부할수록 중요한 건 꾸준함을 유지할 수 있는 ‘루틴’을 만드는 것입니다.계획 없이 닥치는 대로 공부하기보단, 매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목표로 학습하는 반복 가능한 루틴이 필요.. 2025. 6. 29. [개발] Jira를 활용한 실무 개발 협업 팁 협업이 엉키고 일정이 밀릴 땐?Jira를 잘 쓰는 팀은 이미 다르게 일하고 있습니다. 1️⃣ Jira, 왜 개발 협업에 꼭 필요한가요?개발 협업에서 가장 흔한 문제는 바로 일정 누락, 역할 충돌, 업무 파악 지연입니다.이런 비효율의 대부분은 "누가 뭘 하고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되죠.Jira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무를 이슈 단위로 구조화하고,각자의 업무 흐름을 가시화할 수 있는 칸반(Kanban) 보드와 스프린트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특히 개발팀에선 백로그, QA, 배포, 회고까지 단계별로 명확히 나눌 수 있어기획자-개발자-디자이너-운영팀 간의 업무 흐름을 맞추는 데 최적화된 도구입니다.단순한 티켓 관리가 아니라, 프로젝트의 ‘시간 흐름’을 추적할 수 있는 타임라인 중심의 협업도 가능합니.. 2025. 6. 25. [개발] API 문서 자동화 도구 추천! 개발자가 사랑하는 5가지 Tool 총정리 API 스펙 공유가 지연되거나, 명세서 수정 때문에 회의를 반복하고 있진 않나요?이제 코드 기반으로 API 문서를 자동화하고 실무 효율을 높이세요!1️⃣ 왜 API 문서 자동화가 중요한가요?API는 서비스 개발에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연결해주는 ‘계약서’와 같습니다.그런데 많은 개발팀이 API 명세를 Notion, Excel, Confluence 등에 수작업으로 관리하고 있죠.이런 방식은 변경 사항이 많을수록 동기화가 어려워지고, 버그나 커뮤니케이션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특히 동시다발적으로 작업하는 프로젝트나, 외주/클라이언트와의 협업에선정확하고 일관된 API 문서가 없으면, 프론트와 백엔드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다루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그래서 요즘 실무에서는 코드 주도 방식(Code-f.. 2025. 6. 22. [GIT] 실무에서 진짜 쓰는 Git 명령어 TOP 10 정리 "깃 어렵게 외우지 마세요. 현업에선 딱 이것만 씁니다!"Git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 명령어 TOP 10을 상황별로 정리했습니다. 커밋 실수 복구, 브랜치 전략, 충돌 해결까지 실무 중심으로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1. 실무에서 Git을 다룬다는 것의 의미Git은 개발자라면 반드시 익혀야 하는 버전 관리 도구입니다.하지만 많은 신입 개발자들이 Git을 배울 때 모든 명령어를 외워야 한다는 부담을 갖곤 하죠.실제로 실무에서는 git 명령어를 아주 복잡하게 쓰기보다, 정해진 워크플로우에서 필요한 몇 가지 명령어만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그래서 이번 글에선 실제 업무에서 정말 많이 쓰는 Git 명령어만 간결하게 정리해드릴게요.그리고 상황별로 어떤 명령어를 언제 쓰는지 실무 예제도 함께 첨.. 2025. 6. 21. [직장인백서] 야근 없는 직장인의 비밀: ChatGPT · Notion · 엑셀 자동화 루틴 200% 활용법 📌 목차왜 지금 자동화 루틴이 필요할까?ChatGPT로 문서·보고서 자동화하는 법Notion으로 협업과 일정 관리 자동화엑셀 자동화로 반복 업무 줄이기실전 링크 모음 + 자동화 툴 바로가기마무리 요약1. 왜 지금 자동화 루틴이 필요할까?요즘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고민이 있습니다.매일 똑같은 보고서 작성, 반복되는 회의록 정리, 복사 붙여넣기의 연속인 엑셀 작업…하지만 이제는 다릅니다.AI와 자동화 툴만 잘 사용해도 퇴근 시간이 앞당겨지고, 야근 없이도 일 잘하는 사람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지금부터 소개할 ChatGPT, Notion, Excel 자동화 루틴을 통해 여러분의 업무 루틴을 확 바꿔보세요.2. ChatGPT로 문서·보고서 자동화하는 법ChatGPT는 단순한 질문응답용 챗봇이 아닙.. 2025. 6. 19. [개발자] 2025 IT 개발자 컨퍼런스 & 실무 워크숍 총정리 올해 놓치면 아쉬운 실무 중심 행사들! 백엔드부터 AI까지 1️⃣ 2025년 IT 트렌드는 ‘실전’과 ‘네트워킹’ 중심2025년 IT 업계는 단순 기술 습득을 넘어 현장 실무와 커뮤니티 중심의 학습 흐름으로 바뀌고 있습니다.대기업, 스타트업, 그리고 공공기관 모두 기술 전시보다는 현업 중심의 노하우 공유와 워크숍형 세션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개발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행사들도 훨씬 실질적이 되고 있습니다.특히 네이버의 DEVIEW 2025, AWS의 Summit Korea, 카카오의 Tech Day, 그리고 중소기업청과 연계된 오픈소스컨트리뷰톤 등은 모두 실무 개발자를 위한 구체적인 발표 내용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합니다.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엔지니어, DevOps 등 세부 분야별로 특화된.. 2025. 6. 19. [백엔드개발자] 2025년 한국 백엔드 개발 트렌드 총정리: 어떤 언어와 프레임워크가 뜨는가? ✅ 1. 2025년 백엔드 개발 트렌드 한눈에 보기2025년, 백엔드 개발의 역할은 단순한 데이터 처리에서 벗어나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확장성과 보안성을 고려해야 하는 시대로 진입했습니다. 과거에는 서버 한 대에서 모든 기능을 처리하는 '모놀리식 아키텍처'가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기능을 쪼개어 관리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가 실무의 표준이 되어가고 있죠.여기에 더해 AI 연동, 대용량 트래픽 처리, DevOps 통합까지 요구되면서, 단순히 언어 하나를 익히는 것보다도 전체 백엔드 생태계를 이해하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졌습니다.특히 한국 기준으로 살펴보면, 스타트업은 빠른 개발이 가능한 Node.js 기반 기술을, 대기업은 여전히 안정적인 Java 생태계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 2025. 6. 18. 이전 1 2 3 4 ··· 1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