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 시작 정점에서 간선을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모든 정점을 찾는 알고리즘
깊이우선탐색 (Depth-First Search, DFS) 그래프의 깊이를 우선으로 탐색하기 위해 스택의 개념을 활용한다.
너비우선탐색 (Breadth-First Search, BFS) 그래프의 너비를 우선으로 탐색하기 위해 큐의 개념을 활용한다.
깊이우선탐색(Depth-First Search, DFS)
- 시작 정점으로부터 갈 수 있는 하위 정점까지 가장 깊게 탐색하고, 더 이상 갈 곳이 없다면 마지막 갈림길로 돌아와서 다른 정점을 탐색하며 결국 모든 정점을 방문하는 순회 방법
깊이우선탐색(DFS)의 특징
- 모든 정점을 방문할 때 유리하다. 따라서 경우의 수, 순열과 조합 문제에서 많이 사용 한다.
- 너비우선탐색(BFS)에 비해 코드 구현이 간단하다.
- 단, 모든 정점을 방문할 필요가 없거나 최단 거리를 구하는 경우에는 너비우선탐색(BFS) 이 유리하다
- 미로탈출로 생각하기 - 어느 한 쪽 길로 가장 깊게 들어갔다가 막히면 다시 돌아와서 다른 길을 탐색
DFS의 시간 복잡도
- 인접리스트의 시간 복잡도
- 인접리스트 깊이 우선 탐색의 시간 복잡도는 입니다.
- 인접 행렬의 시간 복잡도
- 인접 행렬 깊이 우선 탐색의 시간 복잡도는 입니다.
이유
인접 리스트의 경우 해당 vertex가 가지고 있는 리스트를 한번씩 순환 해야 되기 때문에
만큼 걸린다.
하지만 인접 행렬일 경우 해당 vertex가 어디에 연결 되어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만큼 시간이 걸린다.
DFS의 동작 과정
- 탐색을 진행할 그래프 필요
- 각 정점을 방문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방문 체크 리스트가 필요
- 사람과 달리 컴퓨터는 각 정점에 방문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
- 따라서 visited 리스트를 따로 선언하여 각 정점을 방문했는지 체크한다.
[DFS의 사이클] 1. 현재 정점 방문처리 2. 인접한 모든 정점 확인 3. 방문하지 않은 인접 정점 이동
DFS의 구현 방식
반복문을 이용한 DFS
- DFS는 직전에 방문한 정점으로 차례로 돌아가야 하므로, 후입선출(LIFO)구조의 스택을 사용한다.
graph = [
[1, 2],
[0, 3, 4],
[0, 4, 5],
[1],
[1, 2, 6],
[2],
[4]
]
visited = [False] * n # 방문 처리 리스트 만들기
def dfs(start):
stack = [start] # 돌아갈 곳을 기록
visited[start] = True # 시작 정점 방문 처리
while stack: # 스택이 빌 때까지(돌아갈 곳이 없을때까지) 반복
cur = stack.pop() # 현재 방문 정점(후입선출)
for adj in graph[cur]: # 인접한 모든 정점에 대해
if not visited[adj]: #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visited[adj] = True # 방문 처리
stack.append(adj) # 스택에 넣기
dfs(0) # 0번 정점에서 시작
728x90
반응형
'알고리즘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Python] 재귀함수와 팩토리얼 (0) | 2023.02.23 |
---|---|
[알고리즘/Python] BFS(너비우선탐색) (0) | 2023.01.18 |
[알고리즘/Python] 그래프(Graph) (인접행렬,인접리스트) (0) | 2023.01.18 |
[알고리즘/Python]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0) | 2023.01.18 |
내가 보려고 올리는 코딩 테스트 4단계 공부법(feat.원티드) (1) | 2023.01.04 |
댓글